본문 바로가기

studio/scienza

(103)
[생물] 하디-바인베르그 원리 진화(evolution)를 일반적으로 진보되는 방향으로만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퇴화도 일종의 진화이고, 생존에 불리한 유전자가 나타나는 것도 일종의 진화이다. 이러한 진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들이 필요한데, 어떤 집단이 진화하고 있는지를 가장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로 하디-바인베르크 평형 조건(Hardy-Weinberg equilibrium)이다. 우선, 하디-바인베르크 원리란 어떤 집단의 대립유전자의 분리와 재조합이 맨델의 유전방식을 따를 때 그 집단의 대립유전자 빈도와 유전자형 빈도는 세대가 지나도 항상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원리이다. 즉, 집단에 존재하는 대립유전자 A(유전자 빈도 p)와 a(유전자 빈도 q)가 p+q=1을 만족하고, (p+q)2=p2+2pq+..
[지구과학] project CLEA - Stellar Spectra 사용법 (1) [사진은 클릭해서 보기!] 오늘 "찌꾸과학" 시간에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배웠다. 예전에도 CLEA의 프로그램은 몇 번 사용해 본 적이 있었다. The Revolution of the Moons of Jupiter를 이용하여 목성의 위성의 공전 주기 관측을 통한 목성의 질량 구하기를 했었고, 작년에는 HR Diagrams of Clusters를 이용하여 H-R도 분석을 했었다. 오늘 이용한 프로그램은 Stellar Spectra.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별의 스펙트럼형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이다. 일단, 별을 찾고 스펙트럼을 얻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 우선, 프로..
[생물/실험] 식물의 굴중성 실험 실험 목표 : 식물의 굴중성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안다. 이론적 배경 콩 콩과 식물을 총칭하는 말이다. 실험에 사용된 콩은 강낭콩으로 보이며, 콩과 식물들은 배젖 대신 양분을 지닌 두꺼운 떡잎을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콩의 흰 점은 콩이 콩깍지에 붙어있던 자리로, 발아와는 상관이 없는 부위이나 흰 점이 있는 방향으로 배가 자라나기 때문에 실험에서는 흰 점을 기준으로 방향을 정한다. 식물의 굴중성 식물의 굴중성은 주로 옥신에 의해 나타난다. 뿌리의 옥신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쏠리게 되어 뿌리에서 세포 간 옥신 농도차가 생기게 된다. 이 때 상대적으로 옥신의 농도가 작은 쪽, 즉 위쪽의 세포가 신장하여 식물의 뿌리는 아래쪽으로 자라게 된다. 실험 가 실험 재료 싹튼 콩 여러 개, 거름종이, 테이프, 알루미늄 ..
[생물] TAIL-PCR 후아///// 어렵다 내가 안 하는 걸 미리 알아가야 하는 건가// 뭐, 지금은 그닥 중요한 건 아니지만 내일 R&E 발표 때 누가 물어보면 대충 대답이라도 해야 하니까.. http://blog.naver.com/twice_lie/60070523281 비교적 자세한(사실 찾은 한글 자료가 저것 밖에 없어서;;) 설명! 그리고 이건 뒤지다가 찾은 (영어) PPT 자료. ihome.cuhk.edu.hk/~z045478/TAIL-PCR%5Bfinal%5D.ppt
[생물] 고급생물 풀이 - 1-1) 세포의 분자적 구성 당연히, 내 개인적인 답변이다. --------------------------------------------------------------------------------------------------------------------------- 세포의 구성 물질 세포의 분자적 구성 연구 1 : 고체 상태의 얼음이 액체 상태인 물보다 밀도가 높을 경우 생명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겠는지 생각해보자. · 추운 겨울에는 물이 꽁꽁 얼어붙는다. 그런데, 차가운 얼음이 물의 표면을 덮고 있는데도 물 속에는 수중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다.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해서 반대의 경우, 즉 다른 물질들처럼 얼음의 비중이 물보다 크다고 가정해 보자. 추운 날씨에 얼음이 얼면 비중이 큰 얼음은 물 밑으로 가라앉게 된다. 물..
[지구과학] 천문 관련 사이트 http://oklo.org/2007/07/ 검색하다가 찾아 낸 사이트. 천문에 관한 사이트인 것 같다. 시간 날 때 한 번 읽어주면.... 젠체 하기 좋겠다;; 역시 전문 자료 검색은 구글...!!
[생물] 쌍떡잎VS외떡잎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1&dirId=1116&docId=58982379&qb=7Jm465ah7J6O7Iud66y8IOq4sOqztQ==&enc=utf8&section=kin&rank=3&sort=0&spq=0&pid=gsEuSv331yGssv66Jphssv--243064&sid=TAmCVPIUCUwAADKK6IY
[물리/논문요약] 量子力學의 史的인 考察 : 과학자의 생애를 중심으로 量子力學의 史的인 考察 : 과학자의 생애를 중심으로 2301 김아진 1. 들어가는 글 과학적 사실과 법칙이 발견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과학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과학자들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양자 가설을 중심으로 과학사를 살펴본다. 2. 양자 가설 막스 플랑크는 독일 물리학회에서 흑체에서 나오는 복사 에너지가 특정 상수의 정수배가 되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였다. 빈, 레일리와 진즈는 맥스웰의 분포 곡선을 해석하면서 각자의 결과가 제한된 영역에만 적용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이는 고전 물리와는 다른 새로운 아이디어가 필요함을 제시하는 것이다. 플랑크는 복사열이 연속적인 흐름이 아닌 양자의 불연속적인 단위라는 양자 가설을 처음으로 제시한다. 그는 고전 물리학자였으며 빛..
[생물] 발생학 참고 사이트 http://8e.devbio.com/article.php?id=32 영어;;;
[지구과학/노트] 2010년 5월 25일 원지점 : 달의 앞부분(달이 느리므로) 근지점 : 달의 뒷부분(달이 빠르므로) 그래서 우리가 볼 수 있는 달의 표면은 전체의 57%정도 moon elusion(지상의 달이 상층의 달보다 커 보이는 현상) : 뇌의 인지착오. 지평선 부근에 있으면 가깝다고 인지해서 커 보이고, 하늘에 떠 있으면 멀다고 인지해서 작게 보이는 것이나 촬영하면 같은 크기. 가장 큰 달은 근지점의 보름달 38만km의 평균 궤도 반경 내에서 약간의 차이가 근지점과 원지점의 차이를 유발 이것은 편심원 혹은 타원궤도를 의미 타원궤도라는 것을 알기 위해서는 이심률을 알아내고 궤도 속도를 재어야 알 수 있음 속도가 다르면 타원궤도, 속도가 같으면 원궤도 Stellerium을 통해 달의 적경값 변화를 측정 근지점에서는 적경값 변화가 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