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정말 웃기게 답을 썼....
답도 모르겠고 해서 그냥 막;;
==================================================================================
문제 1)
이 그림에서 n열의 칸은 n!의 값을 가진다. 예를 들어 11은 1!+2!*2+3!이다. 따라서 x번째에만 동그라미가 한 개 들어있는 그림은 x!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2008을 계승들의 합으로 나타내면 2008=6!*2+5!*4+4!*3+3!*2+2!*2이므로 2008을 위의 방식으로 나타내면 6열의 그림으로 나타내어지며, 2열에 2칸, 3열에 2칸, 4열에 3칸, 5열에 4칸, 6열에 2칸이 아래서부터 칠해지게 된다.
문제 2)
이진수는 가장 간단한 수의 형태이므로 어떤 생명체든 이진수를 사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0과 1을 쓰면 신호를 보냄(1)과 보내지 않음(0)으로 정보를 쉽게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별다른 처리 과정 없이 신호를 보내고 외계 생명체도 그 신호를 변환 절차 없이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다. 위 메시지가 전달하려는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숫자 1~10의 표현 > 인간이 십진법을 쓸 수 있는 지적인 생명체라는 것을 뜻한다.
2. 생명의 필수원소 5가지 원소(수소, 탄소, 질소, 산소, 인)의 원자번호 > 신호를 보내는 주체가 이들 원소로 이루어진 유기체라는 것을 뜻한다.
3. 사용하는 DNA 뉴클레오티드 정보(분자식), 4. DNA 이중나선구조, 사람의 세포에 들어있는 염기쌍의 수(30억으로 나타냄) > 모든 생물들은 공통된 뉴클레오티드를 가지며 4가지 뉴클레오티드가 DNA를 구성한다. 그리고 뉴클레오티드를 이루는 분자들의 분자식을 보냄으로써 우리가 보편적인 생물들과 같이 DNA로 유전정보를 저장하는 생명체라는 것을 알린다.
5. 인간에 대한 묘사(인구 40억, 모습, 키 176cm) > 40억이라는 인구와 외모를 표현하여 구체적으로 인간에 대해 언급한다.
6. 태양계의 구조 > 만약에 외계생명체가 태양계를 찾게 된다면 그 가운데에 지구가 있음을 알려준다. 이 그림에서 가장 큰 것이 태양이고, 왼쪽으로 가면서 태양계 바깥쪽 궤도의 행성이 나타난다. 그리고 상대적인 질량을 대략적으로 칸수를 달리 하여 표시하였으며, 지구의 경우 다른 행성보다 한 칸 위쪽에 위치하게 하여 지구가 어디 있는지를 알리고 있다.
7.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에 대한 내용 (모습, 직경 305m) > 외계 생명체에게 신호를 전달하는 도구로써의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에 대한 정보를 알려준다.
문제 3)
인은 DNA를 만드는 뉴클레오티드의 인산기를 이루는 구성원소이다. 메시지에 포함된 PO4는 인산기의 화학식이다. 인산기는 고에너지 결합을 만드는데, 이 결합은 주로 신체 내 에너지 저장을 위한 분자인 ATP에 존재한다. 뉴클레오티드는 당의 5번 탄소에 인산기 세 개를 연달아 가지는데, 이 인산기 중 두 개가 떨어져 나가면서 생기는 에너지로 인해 두 개의 뉴클레오티드가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인과 질소 인은 반응성이 커서 순수한 형태로 존재하기 어렵다. 체내에서는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인산기의 형태로 존재하게 된다. 반면 질소는 질산기로 존재하기 위해서는 어ㅣ날리니아러ᄙᄙᄙᄙᄙᄙᄙ런이이ㆀㆀ
문제 4)
대폭발 이후, 양성자와 전자가 생성되었으며 그것이 점차 모여서 수소 원자를 이루었다. 그것들이 거대한 가스 성운을 형성하고, 그 가운데에서 별이 태어났으며, 그로써 별들의 탄생과 죽음이 반복되는 우주의 역사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그 가운데에는 대폭발 때의 거대한 에너지의 방출로 인해 우주배경복사라는 것이 남게 되었다. 만약 대폭발이 조금 더 빨랐다면 우주의 크기는 지금보다 훨씬 컸을 것이므로 우주배경복사는 좀 더 낮은 온도로 나타났을 것이고, 별의 죽음이 더 많이 일어났을 것이므로 우주 전체적으로 중금속의 비율이 증가할 것이다. 대폭발이 조금 더 느렸다면 우주의 크기는 지금보다 훨씬 작았을 것이므로 우주배경복사가 좀 더 높은 온도로 관측될 것이며, 별의 죽음이 덜 일어나므로 중금속의 비율이 감소할 것이다. 그리고 충분히 대폭발이 늦었을 경우에, 우리는 살아있는 퀘이사를 관측할 수도 있을 것이다.
'studio > scienz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리] Image J로 피크 찾기 (0) | 2010.07.25 |
---|---|
[생물/실험] 꽃가루관의 발아 관찰 (5) | 2010.07.23 |
[지구과학] SETI@home (0) | 2010.07.22 |
[지구과학/문제] 예시문제6 (주제 : 지구의 기원) (2) | 2010.07.22 |
[화학/실험] 구리의 제련 실험(??) (0) | 2010.07.22 |